닫기

“문 대통령, 4·27 판문점 정상회담서 1년 내 비핵화 질문에 김정은 동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review.asiatoday.co.kr/kn/view.php?key=20200622010012971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0. 06. 22. 03:47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남북, 북미정상회담 비사 공개
"정의용 실장 '한국의 CVID 동의 압박에 김정은 따르는 것처럼 보여' 말해"
"6·12 북·미정상회담 장소, 문 대통령이 김정은 선호 싱가포르 전해"
[포토][2018 남북정상회담] 문재인-김정은, 도보다리 위 담소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1년 내 비핵화에 관해 물었고, 김 위원장이 이에 동의했다고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전했다. 사진은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도보다리 위에서 담소를 나누고 있는 모습.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1년 내 비핵화에 관해 물었고, 김 위원장이 이에 동의했다고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전했다.

아울러 볼턴 전 보좌관은 한국이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에게 그해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에 동의하도록 압박했다고 밝혔다.

◇ 볼턴 전 백악관 보좌관 “정의용 실장 ‘한국, 김정은 위원장에 CVID 동의 압박, 김 위원장 따르는 것처럼 보여’ 말해”

볼턴 전 보좌관은 23일(현지시간) 출간 예정인 회고록 ‘그것이 일어난 방’에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2018년 5월 4일 세 번째로 워싱턴 D.C.를 방문해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서 한국은 김 위원장에게 ‘CVID’에 동의하도록 밀어붙였고, 김 위원장은 이에 따르는 것처럼 보였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트럼프 대통령과 ‘빅 딜’에 이르면 구체적인 것은 실무 수준에서 논의될 수 있다고 촉구하면서 북한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비핵화를 완수한 뒤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고, 김 위원장이 이 모든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정 실장이 전했다고 한다.
볼턴 전 보좌관은 정 실장이 4월 12일 백악관을 방문했을 때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이 한·미·일 균열을 유도하는 것을 피하도록 비핵화에 대한 논의를 피하라고 촉구했다.

정 실장은 같은 달 24일 2차 방미 때 남북공동선언은 2쪽짜리일 것이라고 전했고, 이에 볼턴 전 보좌관은 비핵화에 관해 매우 구체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여서 안심했다고 한다. 하지만 4·27 남북공동선언에는 비핵화 관련한 내용이 온건하게 들어가 있었다고 볼턴 전 보좌관은 평가했다.

문재인 김정은 판문점 만남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어아고 있다./한국공동사진기자단
◇ “문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에 ‘김정은 위원장에 1년 내 비핵화 물었고, 그는 동의했다’고 해”

문 대통령은 판문점 정상회담 이튿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해 김 위원장에게 1년 내 비핵화를 물었고, ‘그’는 동의했다고 말했다고 볼턴 전 보좌관은 전했다. 그는 맥락상 김 위원장인 것으로 보인다.

앞서 볼턴 전 보좌관은 2018년 8월 19일 미 ABC방송 인터뷰에서도 “문 대통령은 이것들을 1년 이내에 하자고 했고, 김정은 위원장은 예스라고 했다”며 “북한이 비핵화의 전략적 결정을 내리는 시점으로부터 ‘1년’은 남북이 이미 동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쇄하겠다며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했다고 전했지만 볼턴 전 보좌관은 북한의 또다른 ‘가짜 양보’라고 생각했다고 적었다.

2018 남북정상회담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오른쪽)과 리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2018년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판문점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한국공동사진기자단
◇ “문 대통령, 판문점 남·북·미 3자 정상회담 제안”...볼턴 “문 대통령, 사진찍기용” 평가절하

아울러 문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을 한 후 북·미 정상회담을 하자고 주장했지만 볼턴 전 보좌관은 이를 문 대통령의 ‘사진찍기용’이라고 평가절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넋이 빠진 것처럼 보였고, 심지어 김 위원장과 회담을 5월 중순으로 제안하기까지 했지만 이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것이었다고 볼턴 전 보좌관은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을 칭찬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이 모든 것에 있어서 얼마나 책임감이 있는지 한국 언론에 알려달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를 중동에서 듣고 있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심장마비가 온다’는 농담으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경멸을 표현했고 볼턴 전 보좌관도 죽음에 가까운 경험이었다고 적었다.

◇ “6·12 북·미 정상회담 장소,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 ‘김 위원장 싱가포르 선호’ 말해”

볼턴 전 보좌관은 6·12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싱가포르를 결정하는 과정도 전했다.

김 위원장은 애초 평양이나 판문점을 희망했지만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전 보좌관은 말도 안 되는 생각이라는 데 동의했다. 대신 폼페이오 장관은 제네바와 싱가포르를 가장 수용 가능한 선택으로 봤지만 김 위원장은 비행기 타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비행기는 이 두 곳을 갈 수 없는 데다 김 위원장은 평양에서 너무 멀리 가길 원치 않았고 이 사정을 근거로 볼턴 전 보좌관은 이 회담이 불발될 수 있다는 기대를 품었다.

문 대통령은 2018년 4월 28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 때 김 위원장이 회담 장소로 싱가포르를 선호한다고 했고, 장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볼턴 전 보좌관은 평가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2018년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이 다가올수록 낙담하고 회의적으로 됐다며 북한의 시간끌기에 말려들고 ‘위험한 양보’를 할 수 있는 데다 회담까지 할 경우 김정은 위원장에게 정당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모든 외교적 판당고(스페인 춤)가 한국의 창조물이었다”며 “북한이나 미국의 진지한 전략보다는 한국의 통일 어젠다와 더 많이 관련돼 있었다”고 말했다. 또 북한 비핵화라는 용어에 대한 한국의 이해는 미국의 근본적인 국익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 “일본, 북한의 ‘행동 대 행동’ 비핵화 접근법에 부정적 인식”

회고록에는 일본이 지속해서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행동 대 행동’ 접근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며 우려한 대목도 나온다.

볼턴 전 보좌관은 정 실장 면담일인 4월 12일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당시 일본 국가안보국장도 만났는데 한국의 생각과 180도 달랐고 ‘행동대 행동’ 전략에 반대하는 자기 생각과 매우 비슷했다고 밝혔다.

야치 전 국장은 북·미 정상회담 이후 즉각적으로 시작해 길어도 2년이 걸리는 비핵화를 일본이 원한다고 했고, 이에 자신이 ‘리비아 모델’에 근거해 6~9개월 이내에 해체돼야 한다고 촉구하자 야치 전 국장은 미소를 지었다고 한다.

같은 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6~9개월 내 해체, 생화학무기도 합의문에 포함 등 비슷한 제안을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었다고 한다.

야치 전 국장은 5월 4일 회동 때도 볼턴 전 보좌관에게 북한의 ‘행동 대 행동’ 접근법에 넘어가선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회고록에는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상 수상 후보로 추천하겠다고 말했다는 대목도 나온다. 시점이 언제인지 정확히 나와 있지 않지만 4·27일 남북정상회담 이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