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자의눈] ‘재소자 고용’ 해프닝까지…조선업계 인력난, 산업계-정부 힘 합쳐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review.asiatoday.co.kr/kn/view.php?key=20221023010011091

글자크기

닫기

이지선 기자

승인 : 2022. 10. 23. 14:57

대우조선, 한화에 매각<YONHAP NO-4828>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 전경./연합
최근 정부에서 조선업 현장에 교도소 재소자 투입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업계와 지역사회 모두가 들썩였다. 법무부는 바로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하며 해프닝으로 마무리됐다. 그러나 이런 소문이 흘러나온 것 자체가 재소자 동원을 고려해야 할 정도로 조선업계 인력난이 극심하다는 반증이다. 산업계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조선업 현장의 인력난 해소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조선업 종사자 수는 올해 7월 기준 9만2394명으로 집계됐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4년 20만3441명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특히 설계 연구 인력과 생산인력은 8년 새 각각 6645명(46.9%), 9만8003명(58.3%) 감소했다.

문제는 앞으로다. 최근 LNG운반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국내 조선사 수주도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 조선사들의 수주량은 전년 대비 98.5% 증가한 1768만CGT(표준선 환산톤수)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까지도 국내 조선업계 수주량은 692만CGT로 전세계의 62%를 차지하고 있다.

협회는 확대된 물량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지금보다 4만3000여명의 인력이 더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그중에서도 조선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설계연구나 생산인력의 집중적 충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조선업계는 정부와 협의해 외국인 생산인력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이 또한 미봉책이다. 업무 환경 적응 및 교육에 필요한 기간이 길기도 하고, 만약 적응하더라도 국내 인력들처럼 다른 제조업으로 떠나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임금 체계를 손봐야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조선업 근로자들은 오랜 불황을 겪으며 다른 산업 군으로 계속 빠져나갔다. 특히 조선업계의 근로 환경이 열악해지면서 인력 수급이 원활하지 않았던 면이 있다.

노동계에서는 이미 조선업계가 업무 강도에 비해 임금이 너무 적다는 지적을 수차례 내놓았다. 이 갈등은 파업으로 이어지기까지 했다. 조선업계에서 고착화된 원-하청 구조로 인해 어려운 일을 도맡으면서도 저임금에 시달린다고 호소하는 인력이 적지 않았다.

국내 조선업계는 말 그대로 '대전환'을 앞두고 있다. 현대중공업(한국조선해양)은 오랜만에 흑자 전환을 기대하고 있고, 대우조선해양도 오랜 관리 체제에서 벗어나 새 주인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환의 걸림돌이 될 수 있는 '인력난'을 최대한 빨리 해소해야 한다. 조선사들 자체적으로 업무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할 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인력 양성 지원 및 고용·노동구조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지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