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칼럼] 경영위기 봉착한 컨벤션산업, 정부가 보듬어주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revie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624010013300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4. 06. 24. 18:11

오성환 회장 사진
오성환 (한국 PCO협회 회장)
얼마 전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중소기업인대회를 소개한 모 매체의 1면 머릿기사는 다음과 같았다. "중소기업과 함께 세계로! 미래로!"

윤석열 대통령은 "반도체가 민생"이란 점을 강조하면서 26조원 규모의 반도체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도 함께 제시해 박수갈채를 받았다.

이날 행사는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려는 정부 차원의 대대적인 반도체산업 지원 정책이 발표됐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분위기가 조성됐다. 나날이 치열해져가는 글로벌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한국의 대표적 먹거리인 반도체산업 육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더욱 그랬다.

그러나 이런 우호적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필자의 입장에서는 다소 안타까운 점이 있다. 대한민국 중소기업의 큰 몫을 차지하는 서비스산업이 왠지 소외된 것 같은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4년 현재 국내 경제활동 인구의 70%가 서비스 부문에서 일하고 있으며 이들 중 90%는 중소기업 종사자들이다. 그런데, 여전히 서비스 중소기업들은 코로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6년 전부터 시행 중인 주 52시간 근로제와 매년 인상되는 최저임금제를 감당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팬데믹으로 빠져나간 젊은 인력이 돌아오지 않고 있다. 특히 포럼이나 컨벤션 같은 국제 행사를 효율적으로 꾸려나갈 전문가는 턱없이 부족하다. 더욱이 후유증으로 인한 인력조달의 어려움은 업계의 노력만으론 해결할 수 없는 지경에 도달했다.

물론 이를 고려해 애로사항을 들어보려는 정부의 노력이 없지는 않았다. 경제부총리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과의 간담회가 마련되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달라지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언감생심, 서비스업계 최대 현안인 서비스 적정단가 산정을 위한 대책이나 SOC, R&D에 대한 필요성은 언급조차 힘든 실정이다. 지난 2011년부터 국회에 묵혀 있는 서비스산업 발전 기본법은 아직도 제정되지 않았다.

1996년 12월 '국제회의산업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과 함께 시작된 컨벤션(마이스·MICE) 업계의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팍팍한 경제현실 속에서 대기업들은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는 긴축재정을 꾀하면서 역대급 경영위기에 봉착했다. 오로지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조용히 숨죽이고 경기가 살아날 때까지 버티기'라는 자조 섞인 한숨이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국민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서비스 중소기업들에겐 17조원의 저리 대출프로그램이나 1조1000억원 규모의 생태계펀드, 7조5000억원의 인력 양성 및 인프라 지원 예산이 필요치 않다.

우리는 정부 차원에서 어려운 현실을 진정성 있게 들여다보고 따뜻하게 보듬어주는 모습을 보고 싶다. 무엇보다 진정한 선진국이라면 국제 행사를 능숙하고 전문적으로 치러내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그런 점에서 이를 책임질 컨벤션 산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우리 업계도 대통령께서 요리해주는 김치찌개와 계란말이를 먹어보고 싶다.

※본란의 칼럼은 본지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오성환 (한국 PCO협회 회장)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