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LG, 美 가전사업 ‘관세 리스크’… 투트랙 전략으로 막는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revie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217010009355

글자크기

닫기

연찬모 기자

승인 : 2024. 12. 16. 17:48

취임 앞둔 트럼프 고율 관세 예고
프리미엄 이어 중저가 시장 공략
점유율 확대로 실적 개선세 유지
현지생산 강화 등 유연 대응 전망

LG그룹이 최근 구광모 회장 주재로 열린 사장단 협의회에서 '트럼프 리스크'를 집중 논의했다. 내년 1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있을 북미 통상환경 변화가 주요 사업에 미칠 영향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관세 리스크'가 커질 경우 LG전자 주력인 생활가전 사업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가 주된 논의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북미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추후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유연하게 대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16일 LG그룹에 따르면 지난 12일 구광모 회장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진들과 함께 사장단 협의회를 열고 내년 사업계획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의 핵심 주제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주요 사업별 대응 방안으로 알려졌다. 북미 시장 비중이 큰 LG전자 가전사업에 미칠 영향 등이 주로 논의됐다.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을 보면 LG전자 생활가전 사업을 담당해 온 H&A사업본부는 올해 1~3분기 25조78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 동기(23조4800억원)와 비교하면 9.8%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매출은 64조9600억원으로, H&A사업본부가 차지하는 비중은 40%에 달할 정도로 높다.

전 세계 생활가전 수요 둔화에도 국내와 더불어 매출의 상당부분을 뒷받침하는 북미 지역에서 선방한 결과다. LG전자는 해외 지역의 사업부문별 실적을 공개하진 않지만, 올해 북미 지역 전체 매출은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3분기 북미 지역 매출은 16조98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를 넘었다.
북미 지역은 전 세계 최대 생활가전 시장으로, LG전자에 따르면 올해 400억 달러(약 57조26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시장조사업체 트랙라인은 LG전자가 19%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했다. 국내에 이어 북미 지역에서도 생활가전 사업이 효자 노릇을 하고 있지만, 내년 도널드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라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가장 큰 고민거리는 관세 인상이다. 다음달 취임을 앞둔 트럼프 당선인은 그간 모든 수입품에 대한 10~20% 수준의 '보편 관세'를 강조해 왔다. 통상 관세 인상은 제품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판매에 악영향을 준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후보 시절 "관세는 가장 아름다운 단어"라며 고율 관세를 예고한 바 있다.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25%의 추가 관세 계획도 새 변수로 떠올랐다. LG전자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냉장고와 오븐 등을 생산하는 멕시코 몬테레이 공장은 북미 수출의 전초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북미 지역과 인접한 데다 인건비가 낮고 무역협정으로 무관세 혜택까지 챙길 수 있지만, 추가 관세가 이뤄질 경우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와 관련해 LG전자는 북미 통상환경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현지 생산량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현재 LG전자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생산 중이다. 앞서 손창우 테네시 공장 법인장은 지난 6월 기자간담회에서 통상환경 악화에 대비해 타 가전제품까지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관세 리스크가 어떤 식으로 나타날지 명확하지 않은 만큼 세부적인 계획을 말하긴 어렵다"면서도 "현지에 생산기지를 갖추고 있어 추후 유연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수요가 많은 볼륨존(중저가)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 실적 개선세를 유지할 계획이다. 최근 LG전자는 기존 타깃이었던 프리미엄 시장에 이어 볼륨존 시장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투트랙 전략을 통해 수요 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점유율을 끌어올리려는 의도다. LG전자 관계자는 "관세 인상 여파를 다각도로 살피면서도 기존 투트랙 전략은 꾸준히 강화할 계획"이라며 "사업영역을 넓혀 지속성장의 기회를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찬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