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제주항공 참사]‘조류충돌·랜딩기어 고장’ 사고원인 의문… 블랙박스 분석 관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revie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231010016217

글자크기

닫기

정민훈 기자

승인 : 2024. 12. 30. 18:04

'새떼 영향 기체 결함'에 무게 쏠렸지만
전문가 "엔진 손상돼도 랜딩기어 작동"
일각 "충분한 착륙 거리 미확보도 의문"
국토부, 여객기 블랙박스 2종 모두 수거
사망자 179명이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사고 원인을 두고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당초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로 인한 기체 결함에 무게가 쏠렸었지만, 조류 충돌과 관련 없는 랜딩기어(비행기 바퀴 등 착륙장치) 미작동이나 급박한 동체착륙 등 여러 정황이 포착되면서 사고 원인에 대한 다양한 의문점이 나오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사고 여객기 블랙박스 2종을 모두 수거했다고 밝혔다. 수거된 블랙박스는 비행기록장치(FDR)와 음성기록장치(CRV)이다. FDR은 사고 항공기의 비행 경로 등 장치 작동 기록이 담겨 있고, CVR은 기장과 부기장, 관제탑과의 교신 내용 등이 담겨 있다. FDR의 경우 일부 훼손된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참사 원인 규명의 핵심으로 꼽히는 '블랙박스 해독 작업'은 한 달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됐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관계자는 "CVR은 외형 그대로 수거됐는데 FDR은 일부 분리가 됐다"면서 "FDR 해독은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다. 한 달은 걸리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현재로선 조류 충돌이 사고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사고기 오른쪽 엔진에 조류가 빨려 들어가 엔진 고장 등을 일으켜 비상착륙을 유발했다는 분석이다. 사고 당일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상공에 새 떼가 있었다는 공항 직원의 증언과 공항 인근이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이자 서식지라는 점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하지만 사고 여객기가 랜딩기어를 작동하지 않은 채 동체착륙 시도가 이뤄졌던 만큼 랜딩기어 미작동 등 기체 정비불량으로 인한 사고 발생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엔진 손상이 발생했더라도 랜딩기어는 정상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랜딩기어는 자동 및 수동 방식으로 착륙 전 내릴 수 있다. 수동 방식의 경우 기종마다 다르나 통상 15초 정도 조종석 핸들을 당긴 뒤 랜딩기어 레버를 내린다. 즉, 비상 착륙 도중 랜딩기어를 내리기 위해 최소 15초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설명이다.

사고 당시 활주로 착륙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다는 주장도 나오는 만큼 이에 대한 규명도 필요해 보인다. 여객기 조종사들은 보통 1500피트 상공에서 활주로 3분의 1 지점 이내를 목표로 착륙한다. 무안국제공항의 활주로 길이가 2800m인 점을 감안하면 900m 안쪽에서 여객기가 접지돼야 한다.

김현덕 한국항공대 교수는 "엔진 손상이 있었다고 하면 나머지 엔진으로 충분히 랜딩기어를 내리고 착륙할 수 있지만, 이번 사고의 경우 랜딩기어 등 아무것도 내리지 못하고 동체착륙할 수밖에 없는 긴박한 상황이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 착륙 거리가 확보됐다면 감속이 더 이뤄졌을 것"이라며 "활주로 3분의 1 지점 이내에서 내려야 하는데, 사고 당시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민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