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주한미군 철수 시도 카터 전 미 대통령 별세...향년 100세, 미 최장수 대통령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review.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230010015579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4. 12. 30. 06:40

카터 제 39대 미 대통령 별세
조지아주 지사 거쳐 1977~1981년 재임
재선 실패 후 국제평화 해결사 역할 노벨평화상 수상
주한미군 철수 추진, 박정희와 설전
박정희 카터
박정희 대통령과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이 1979년 6월 30일 청와대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연합뉴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29일(현지시간) 별세했다. 향년 100세.

제39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한 카터 전 대통령은 이날 호스피스 돌봄을 받던 중 세상을 떠났다고 그의 아들이 밝혔다고 워싱턴포스트(WP) 등이 보도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초대 조지 워싱턴 대통령 이래 역대 미국 대통령 가운데 가장 장수한 인물로 남게 됐다.

1924년 10월 1일생인 카터 전 대통령은 과거 암 투병을 했고,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겪었다. 지난 2월에는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가정에서 호스피스 완화 의료 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앞서 부인 로절린 여사가 지난해 11월 19일 96세의 일기로 별세했다.
카터 부부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부인 로잘린 카터 여사가 2021년 7월 10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플레인스에서 결혼 75주년을 축하하고 있다./AP·연합뉴스
카터 전 대통령은 민주당 출신으로 조지아주 지사를 거쳐 1977년부터 1981년 동안 재임했다. 재임 기간인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으로 인한 미국대사관 직원 인질 사건과 경제 문제, 그리고 한국 등 특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인권 외교 정책으로 동맹과의 관계 악화 등 때문에 재선에 실패했지만, 퇴임 후 국제 평화 해결사로 활약해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재임 기간 대표적 치적으로는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 적대 행위를 끝낸 1978년 월 '캠프데이비드 협정' 중재 성공이 꼽힌다. 아울러 리처드 닉스 대통령이 1972년 2월 중국을 방문해 마오쩌둥(毛澤東) 중국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물꼬를 튼 미·중 수교를 1979년 1월 성사시키기도 했다.

AP Was There Jimmy Carter Nobel Prize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왼쪽)과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총리(오른쪽)가 1979년 3월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양국 간 평화 협정에 서명한 후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과 손을 맞잡고 있다./AP·연합뉴스
카터 전 대통령은 대선 운동 기간 주한미군 철수 공약을 내세웠으며 실제 부분 철수 계획까지 발표했지만, 이행하지는 못했다.

카터 당시 대통령은 1979년 6월 30일 청와대에서 진행된 박정희 당시 대통령과 주한미군 철수 문제와 한국의 인권상황을 놓고 격한 설전을 주고받았다.

자신의 대선 공약인 주한미군 철수를 어떤 식으로든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였고, 박 대통령은 북한이 군사적 우위를 보이는 상황에서 주한미군의 핵심 전력을 섣불리 빼서는 안 된다고 반박했다.

카터 대통령은 "북한이 국민총생산(GNP)의 20%가량을 군사비에 쓰고 있다"며 한국의 방위비 확충을 압박하자 박 대통령은 자주국방에 대한 소신을 밝히면서도 "북한은 우리와 구조가 완전히 다르다. 우리가 GNP의 20%를 군사비에 쓰면 폭동이 일어날 것"이라고 맞받아졌다.

아울러 카터 대통령이 긴급조치 9호를 거론하면서 인권 문제를 제기하자 박 대통령은 "소련군이 땅굴을 파고 특공대를 워싱턴 D.C.로 투입한다면 미국의 자유는 더 제한될 것"이라며 "우리 국민에게 가능한 최대한 자유를 누리게 하고 싶지만, 3700만명의 생존이 걸려있고 어느 정도는 통제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FILE) USA PEOPLE JIMMY CARTER OBIT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왼쪽)과 레오니트 브레주네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1979년 6월 15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진행된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II 핵무기 조약 체결 전에 만나고 있다./EPA·연합뉴스
Obit Jimmy Carter A Life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전 영부인 로잘린 카터 여사가 2007년 5월 2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렌스(LA) 바이올렛에서 진행된 해비타트 집짓기에 참여하고 있다./AP·연합뉴스
아울러 카터 전 대통령은 1994년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탈퇴를 선언한 '1차 북핵 위기' 때 평양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을 설득해 북·미 협상의 물꼬를 텄고, 이후 미국인 억류자 아이잘론 말리 곰즈의 석방을 위해 2010년 8월 방문해 김일성을 만났으며 '디 엘더스' 소속 전직 국가수반 3명과 함께 남북 비핵화 협상 중재 등을 위해 2011년 4월 방북했지만,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지 못한 채 한국을 방문해 이명박 대통령을 면담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